코로나19로 인한 안면 마스크에서 박테리아 및 곰팡이 분리

소식

홈페이지홈페이지 / 소식 / 코로나19로 인한 안면 마스크에서 박테리아 및 곰팡이 분리

Sep 10, 2023

코로나19로 인한 안면 마스크에서 박테리아 및 곰팡이 분리

과학 보고서 12권,

Scientific Reports 12권, 기사 번호: 11361(2022) 이 기사 인용

463k 액세스

8 인용

9968 알트메트릭

측정항목 세부정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사람들은 공공장소에서 매일 마스크를 착용하게 되었습니다. 바이러스 전파에 대한 안면 마스크의 효과는 광범위하게 연구되었지만, 안면 마스크에 부착된 박테리아 및 곰팡이로 인한 잠재적인 위생 문제에 대한 보고는 거의 없습니다. 우리는 (1) 마스크에 부착된 세균 및 곰팡이를 정량화 및 동정하고, (2) 마스크에 부착된 미생물이 마스크의 종류 및 사용법, 개인의 생활방식과 연관이 있는지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109명의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마스크 사용 및 생활 방식을 조사하고, 마스크의 얼굴 쪽이나 바깥 쪽에서 배양된 박테리아와 곰팡이를 조사했습니다. 박테리아 콜로니 수는 바깥쪽보다 얼굴 쪽에서 더 컸습니다. 곰팡이 군집 수는 바깥쪽보다 표면 쪽이 더 적었습니다. 마스크 사용 시간이 길수록 곰팡이 군집 수가 크게 증가했지만 박테리아 군집 수는 증가하지 않았습니다. 대부분의 확인된 미생물은 인간에게 비병원성이었지만; 표피포도상구균, 황색포도상구균, 클라도스포리움 등 여러 병원성 미생물을 발견했습니다.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포도상구균 사프로피티쿠스(Staphylococcus saprophyticus), 아스퍼질러스(Aspergillus) 및 마이크로스포럼(Microsporum). 또한 마스크에 부착된 미생물이 운송 방법이나 가글과 관련이 있는 것도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면역력이 저하된 사람들은 미생물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마스크의 반복적인 사용을 피해야 한다고 제안합니다.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2(SARS-CoV-2)의 급속한 전 세계 확산과 그에 따른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2019(COVID-19)의 대유행으로 인해 바이러스 전파를 예방하기 위한 긴급한 노력이 이루어졌습니다. 호흡기 감염을 예방하는 가장 전통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은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입니다. 몇몇 연구 그룹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에 호흡기 바이러스 전염에 대한 효과를 입증했습니다1,2.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SARS-CoV-2 및 비말에 대한 마스크 착용의 효과를 뒷받침하는 증거가 늘어나고 있습니다3,4. 그러나 세계보건기구(WHO)는 손 위생, 적절한 사용, 마스크 폐기를 병행할 때만 마스크가 효과적이라고 주장합니다5.

일본에서는 세 가지 유형의 안면 마스크가 시판되고 있습니다: (1) 부직포, (2) 폴리우레탄, (3) 거즈 또는 천 마스크(그림 1a,b). 부직포 마스크는 SARS-CoV-2를 포함한 대부분의 호흡기 미생물에 의한 비말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그림 1c). 폴리우레탄 마스크는 특히 아시아 국가에서 꽃가루 알레르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었습니다. 폴리우레탄 마스크는 호흡이 쉽고 세탁이 가능해 대중화됐고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도 여러 차례 재사용됐다. 거즈 마스크는 덜 인기가 있지만 마스크를 세탁하고 재사용할 수 있으며 효과적으로 감염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이에 일본 정부는 코로나19 팬데믹 초기 부직포 마스크가 부족해 전 국민에게 거즈 마스크를 배포했다.

마스크 종류와 미생물의 크기. (a) 시중에서 판매되는 세 가지 유형의 안면 마스크에 대한 거시적 및 현미경 이미지. 부직포 마스크에는 3개의 층이 있습니다. 외부 층과 내부 층의 기공 크기는 동일합니다(50–150 µm). 중간층(필터로 간주)의 기공 크기는 더 작습니다(5~30μm). 현미경 이미지는 CCD 카메라 DP22(bar = 500 µm)가 장착된 Olympus Microscope CX33으로 촬영되었습니다. (b) 세 가지 마스크 유형의 기공 크기, 두께, 층 및 용도. 제조업체 지침에 따른 안면 마스크의 기공 크기는 (a)(오른쪽 패널)에 표시된 현미경 이미지를 사용하여 확인되었습니다. (c) 미생물 및 입자의 표준 크기(왼쪽 패널)와 부직포 마스크의 중간 필터의 기공 크기(5μm)와의 비교(오른쪽 스키마).

 2 days), the fast-growing bacterium B. subtilis outgrew the other bacteria, resulting in the difficulty of detecting slow-growing bacteria. For the fungal cultures, Sabouraud dextrose agar plates (Nissui pharmaceutical Co., LTD, Tokyo, Japan) were used and incubated at 25 °C under aerobic condition for 5 days. Following the primary incubation, we evaluated the colony morphology and conducted colony counting. Although we tested the presence of microbes on the middle layer (filter layer), we detected only small numbers of the bacterial and fungal colonies (mean ± SEM: bacterial colonies, 6.3 ± 4.9; and fungal colonies, 1.0 ± 0.5). Thus, we decided to focus on the microbial colonies on the face-side and outer-side of the masks in this study./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