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세포주 및 순환종양세포의 항원 발현 측정

블로그

홈페이지홈페이지 / 블로그 / 암세포주 및 순환종양세포의 항원 발현 측정

Mar 16, 2023

암세포주 및 순환종양세포의 항원 발현 측정

과학 보고서 13권,

Scientific Reports 13권, 기사 번호: 6051(2023) 이 기사 인용

476 액세스

측정항목 세부정보

순환 종양 세포(CTC)에 대한 EpCAM 기반 농축 기술을 평가할 때 사용되는 세포주는 실제 CTC와 매우 유사해야 합니다. 즉, CTC의 EpCAM 발현을 알아야 하지만 다른 기관과 시간에서 세포주의 EpCAM 발현도 알아야 합니다. 중요한. 혈액 내 순환종양세포의 수가 적기 때문에 전립선암 환자 13명의 진단용 백혈구분출술 제품에서 백혈구를 고갈시켜 순환종양세포를 농축하고 정량유세포분석법을 사용하여 EpCAM 발현을 측정했습니다. 각 기관의 배양물을 측정하여 여러 기관 간에 항원 발현을 비교했습니다. 사용된 세포주 중 하나에 대한 포획 효율도 측정되었습니다. 결과는 거세에 민감한 전립선암 환자로부터 유래된 CTC가 EpCAM 발현이 다양하지만 상대적으로 낮음을 보여줍니다. 환자당 평균 발현 범위는 세포당 35~89,534(평균 24,993) 분자입니다. 서로 다른 기관에서 배양된 동일한 세포주의 항원 발현에 큰 변화가 발견되었으며, 그 결과 동일한 세포주에 대해 CellSearch 시스템을 사용할 때 12~83% 범위의 회수율이 나타났습니다. 우리는 동일한 세포주를 사용하는 동안 포획 효율에 큰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결론지었습니다. 거세민감성 전립선암 환자의 실제 순환종양세포와 매우 유사하게 하려면 상대적으로 EpCAM 발현이 낮은 세포주를 사용해야 하며 그 발현을 자주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세포주는 종종 다양한 방법을 비교하거나 순환 종양 세포(CTC)의 농축 및 분리를 위한 프로토콜을 최적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사용된 세포주는 여러 농축 기술을 비교하는 일부 기사나 리뷰에 명시되어 있습니다1,2,3,4. 이는 크기, 변형성 및 항원 발현과 같은 특성이 서로 다른 세포주마다 크게 다를 수 있기 때문에 표면적으로는 더 공정한 비교를 가능하게 합니다. 특히 후자의 특성은 항원 기반 농축 기술을 평가할 때 매우 중요합니다.

선택적 희귀 세포 포획을 위해 표면 항원을 사용할 때, 코팅된 표면과 세포 사이에 많은 수의 상호작용이 생성되어야 하며, 동시에 포획된 세포의 유지도 허용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초상자성) 비드를 항체5로 코팅하는 면역자기 포획입니다. CTC 포획의 경우 대부분의 경우 관련 항원은 종양 조직과 CTC 모두에서 대부분의 상피 암에서 과발현되는 항원인 상피 세포 접착 분자(EpCAM)입니다6. 면역자기 농축의 예로는 CTC 농축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인 CellSearch 시스템이 있습니다7.

이러한 농축의 효율성은 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항원의 수에 크게 좌우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기술을 평가할 때는 비슷한 발현 특성을 가진 세포주를 사용하여 실제 CTC를 더욱 유사하게 모방해야 합니다. 여기서는 포획에 사용되는 특성뿐만 아니라 CTC 식별에 사용되는 특성도 고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자주 사용되는 LNCaP 세포주의 사이토케라틴(CK) 발현 수준은 환자 CTC8의 수준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나므로 식별이 비현실적으로 쉽습니다.

EpCAM 수준이 낮거나 심지어 EpCAM 음성 CTC9,10,11,12,13의 하위 모집단 존재에 대한 최근의 통찰력을 고려할 때 현실적인 EpCAM 발현이 있는 세포주를 사용하는 것은 훨씬 더 관련성이 높습니다. 여러 연구에서 이미 추가 항원을 사용하거나 생성된 자기력을 증가시켜 항원 기반 포획 방법의 민감도를 높이려고 시도한 반면, 많은 연구에서는 완전히 EpCAM 독립적인 포획 방법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이러한 방법은 모두 낮은 EpCAM 발현 세포를 포착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CellSearch 시스템조차도 EpCAM 발현이 낮은 CTC에 충분한 자성 입자를 결합하기 위해 특화된 특허 접근 방식을 사용합니다20.

 2 CTCs in a 7.5 mL sample of blood. In one of the spiking experiments material was used from a patient in the SIBYLLA study, in which breast cancer patients who completed adjuvant endocrine treatment and have no clinical signs of recurrence are included./p>